본문 바로가기
취미 화폐공부

이승만 지폐들 일명 좌이박 우이박 중앙이박 등 정보 및 시세 총정리

by 굿데이라라 2025. 3. 14.
반응형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1. 역사적 배경

이승만 화폐는 대한민국의 초창기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 시기는 국가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경제적 안정성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이승만 화폐는 단순한 화폐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그 자체로 강력한 권위를 상징합니다. 이러한 화폐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그 시대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유산입니다.

 

2. 이승만 화폐 시리즈 발행 연도

  • 1650년 한복 : 일명 한복 천 원
  • 1952년 한복 : 일명 중앙인 천 원
  • 1952년 한복 : 일명 남색지 오백 원
  • 1954년 한복 : 일명 신)백 환
  • 1956년 한복 : 일명 중앙이박
  • 1957년 양복 : 일명 우이박 천 환
  • 1957년 양복 : 일명 우이박 백 환
  • 1958년 양복 : 일명 우이박 오백 환

3. 화폐 디자인과 관련된 흥미로운 일화

우리나라 화폐 디자인은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특히 만 원권은 지폐의 오른쪽에 인물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는 이승만 집권기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1956년에 발행된 오백 환 권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초상이 중앙에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발행 이후, 대통령의 초상이 두 쪽으로 나뉘거나 절반으로 접히는 문제로 인해 논란이 일어났습니다. 이러한 손상된 화폐는 대통령의 독재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초상을 가운 데 넣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이승만 대통령은 이에 대해 불만을 표명했습니다. 그는 "어떻게 나라의 국부인 나의 얼굴을 지폐 중앙엥 집어넣어 쪼개지거나 접히게 하여 나를 욕되게 하는 것이냐?"라고 말하며 초상의 위치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습니다.

 

결국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58년에 새로운 오백 환 권이 재발행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단순한 화폐 디자인의 문제가 아니라, 당시 정치적 상황과 사회적 반응을 잘 보여주는 흥미로운 일화입니다.

 

4. 화폐 디자인의 변화와 역사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이 붕괴된 후, 1960년 8월 15일과 1961년 4월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초상이 세종대왕 초상으로 대체되었습니다. 이때부터 우리나라의 화폐에는 한글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5. 연도별 화폐 특징 및 일부 시세

  • 1950년 일명 좌이박 한복 천 원

1950년 좌이박 한복 천 원

한복을 입고 있는 모습에 한복 천 원이라 불리며, 좌측에 이승만 대통령이 있다하여 일명 좌이박 한복 천 원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제조사는 일본 내각 인쇄국과 한국조폐공사(재무부 직할 인쇄공장) 입니다.

*판번호 500번 이전은 일본에서 인쇄하였고, 501번 이후는 한국에서 인쇄하였습니다.

 

  • 1952년 일명 좌이박 중앙인 천 원

1952년 좌이박 중앙인 천 원

1952년에 발행된 신(新) 천 원(千圓)과 오백 원(五百圓)은 당시 시대상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습니다. 지폐 앞면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초상과, 뒷면에는 서울의 상징이었던 파고다 공원이 그려져 있습니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서울을 재건하려는 의지를 강하게 나타내고 있습니다. 지폐의 앞면을 살펴보면, 좌측에는 당시 대통령인 이승만 초상이, 중앙에는 한국은행 휘장이 그려져 있습니다. 휘장이 중앙에 있다 하여 일명 중앙인 천 원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 1952년 일명 좌이박 남색지 오백 원

1952년 좌이박 남색지 오백 원

남색으로 발행된 화폐이기에 남색지라 불리고 있습니다. 판번호는 1~2번이 있고, 판번호 2번이 더 희귀성을 갖고 있습니다. 그레이딩이 되었다면 약 200~250만 원 정도의 가치를 지닌 고가 화폐입니다.

 

  • 1954년 일명 좌이박 신)백 환 백색지

1954년 좌이박 신)백 환 백색지

1954년 2월 1일 발행되었고, 1962년 6월 10일 제3차 통화조치로 인해 유통이 정지되었습니다.

앞면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초상이 담겨있고, 뒷면엔 독립문 도안이 담겨있습니다.

 

  • 1956년 일명 중앙이박 오백 환

1956년 중앙이박 오백 환

대통령의 초상이 두 쪽으로 나뉘거나 절반으로 접히는 문제로 인해 논란이 많았던 그 지폐입니다.

 

  • 1957년 일명 우이박 천 환
  • 1957년 주화 100환

1957년 우이박 천 환/ 백 환

일명 우이박 신)천 환, 신)오백 환, 개 백환입니다. 특징은 이때부터 양복으로 바뀌면서 이승만 대통령이 회춘하게 됩니다.

그레이딩 63등급 지폐 기준으로 약 250만 원의 가치를 지닌 고가 화폐입니다.

 

  • 1958년 일명 우이박 오백 환

1958년 우이박 오백 환

이 화폐는 1958년 8월 15일에 발행되어, 제 3차 통화조치로 인해 1962년 6월 10일에 발행이 정지되었습니다.

 

시세는 보관 상태, 훼손 정도에 따라 달라지며 그레이딩이 되었을 경우 등급에 따라 천차만별로 달라집니다. 시세는 참고사항일 뿐 정확한 정보를 파악 후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6. 마무리

민주주의를 외치며 독재 정권.. 여러분은 혹시 이승만 지폐를 본 적이 있으신가요? 또는 수집하고 계시나요?

이승만 대통령 화폐 시리즈는 상태가 좋은 화폐 기준으로 대부분 고가에 속합니다. 이 화폐의 소장 가치는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레이딩 된 화폐가 아니더라도 꼭 안전하게 보관하시길 바랍니다!

 

2025.03.03 - [취미 화폐공부] - 지폐 주화 그레이딩이란?

 

지폐 주화 그레이딩이란?

설명그레이딩은 지폐(또는 동전)의 보존 상태를 평가하는 등급 시스템을 말합니다.화폐의 종류는 많고, 해당 화폐가 진짜인지 위조지폐인지 모두 알 수는 없기에 PMG, PCGS, NGC, NNGC 등공식적으로

gday-lala.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