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미 화폐공부8

1960년 세종천환 / 한국 화폐 역사에서의 희귀한 지폐 목차세종천환 특징세종천환의 발행 연도세종천환의 역사적 의미수집 난이도4293년(1960년) 지폐의 판번호 특징마무리 세종천환 특징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 화폐 수집가들 사이에서 희귀한 지폐로 알려진 세종천환(개천환) 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세종천환은 1960년대 초반 발행된 대한민국의 1000환 지폐로, 특히 세종대왕의 초상이 들어간 역사적인 화폐입니다.당시 우리나라는 전쟁 상황 속에서 화폐가 급하게 필요한경우 일본에서 인쇄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고, 세종대왕 초상화를 외국인이 그린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알고있는 세종대왕 초상화와는 많이 다른 모습으로 남아 있습니다. 세종천환의 발행 연도 세종천환은 총 3개 년도로 발행되었습니다.4293년 (1960년)4294년 (1961년)196.. 2025. 3. 19.
이승만 지폐들 일명 좌이박 우이박 중앙이박 등 정보 및 시세 총정리 1. 역사적 배경이승만 화폐는 대한민국의 초창기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 시기는 국가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경제적 안정성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이승만 화폐는 단순한 화폐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그 자체로 강력한 권위를 상징합니다. 이러한 화폐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그 시대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유산입니다. 2. 이승만 화폐 시리즈 발행 연도1650년 한복 : 일명 한복 천 원1952년 한복 : 일명 중앙인 천 원1952년 한복 : 일명 남색지 오백 원1954년 한복 : 일명 신)백 환1956년 한복 : 일명 중앙이박1957년 양복 : 일명 우이박 천 환1957년 양복 : 일명 우이박 백 환1958년.. 2025. 3. 14.
2018년 100원 동전의 희귀성과 가치 / 당신의 주머니에 숨겨진 보물! 한국의 동전 중에서 특히 주목받고 있는 100원 동전은 2018년 / 2019년에 발행된 주화입니다. 이 동전들은 현재 50배에서 200배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이 100원 동전의 희귀성과 그 가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2018년 2019년 100원 동전의 배경2018년 2019년 100원 동전은 3천만 주가 발행됐는데 발행량 자체가 적다고 이야기가 돌고 있습니다. 3천만 주면 많은데? 싶을 수도 있지만, 은행에서 나오다 말았기 때문에 유통량이 적습니다. 때문에 수집가들 사이에선 군침을 흘리며 소장하고 싶어 하는 주화입니다. 모든 화폐는 발행량이 적을수록 희귀성이 높아집니다. 게다가 유통량이 적었다면 더욱 희귀해지죠.2025.03.06 - [취미 화폐공부] - 19.. 2025. 3. 11.
화폐 일련번호 용어 총정리 설명하기전에 화폐 용어에 관심이 없으셔도 10-1번 사항은 꼭 읽어봐주셨으면 합니다! 지폐의 일련번호는 나라마다 표기 방식이 다르지만 해당 지폐를 식별하는 고유한 번호로, 발행 정보와 위조 방지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같은 지폐여도 어떤 일련번호를 가졌는지에 따라서 그 지폐의 수집 가치는 천차만별로 달라집니다. 지금 날에도 수집가들 사이에서도 사용되는 언어로 잘 모르셨던 분들이 보기에도 알기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모든 예시는 한국지폐를 기준으로 설명할게요! 1. 레이더 (Radar Note)중앙에 위치한 지폐의 숫자를 기준으로 좌, 우 대칭을 이루는 배열 / 앞에서 읽어도 뒤에서 읽어도 같은 경우 아무래도 일련번호가 2~3개로만 이루어진 게 아니다 보니 일련번호 중 레이더의 종류를 가진 화폐가 가장 .. 2025. 3. 8.
1962년 발행된 화폐중 1800만원이 넘는 화폐가 있다? 소개안녕하세요! 오늘 소개해 드릴 화폐는 상당히 고가에 속하는 '모자상' 백환권 화폐 입니다.최근 이 모자상 백환권 화폐는 경매에서 1,810만 원에 낙찰된 이력이 있습니다.모자상 백환권 화폐의 앞면은 여인과 남자아이가 저금통장을 보는 그림으로 이루어져있고,뒷면은 독립문 도안이 담겨있습니다.그럼 도대체 이 화폐가 왜 이렇게 비싼 건지! 차근차근 알아보시죠 😀모자상 백환권 화폐의 특징우리나라는 주로 역사적인 위인을 화폐에 담았고, 한명의 위인으로 도안을 제작했지만 우리나라 최초 두 명으로 구성된 도안을 가진 화폐였습니다. (생각해 보니 그렇지 않나요?)옛날 화폐는 대부분 한자로 표기했으며, 모자상 백환권 화폐는 순수한 한글이 담겨있습니다.모자상 백환권 화폐가 비싸고 비싼 이유는 이것 때문인데요!발행 시기.. 2025. 3. 6.
1973년 1차 만원권 가만원권 이 주제를 보시고 나면 집안 어딘가에 있을지도 모르는 보물을 찾아보세요 🤩우리 집에 보물이 잠들어있을 수도 있어요!설명이 1차 만 원권은 우리나라 최초의 고액권으로 산전수전을 겪고 1973년 발행되었습니다.1970년대 박정희 정부 시절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고 이로 인해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고액 화폐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이 지폐는 1차 만 원이라 불리며 또는 만 원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171x81 mm의 크기로 앞면은 세종대왕 초상의 그림과 무궁과 그림이 있으며뒷면은 경복궁 근정전의 모습이 담겨있습니다.원래 이 1차 만 원권은 석굴암 불국사 그림을 담아 1972년 발행하려 하였으나, 불교 문화재인 석굴암과 불국사를 담는 것은 특정 종교를 두둔하는 것이라며 반발이 거세지자 한국은행은 발행을 .. 2025.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