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날돈3

1960년 세종천환 / 한국 화폐 역사에서의 희귀한 지폐 목차세종천환 특징세종천환의 발행 연도세종천환의 역사적 의미수집 난이도4293년(1960년) 지폐의 판번호 특징마무리 세종천환 특징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 화폐 수집가들 사이에서 희귀한 지폐로 알려진 세종천환(개천환) 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세종천환은 1960년대 초반 발행된 대한민국의 1000환 지폐로, 특히 세종대왕의 초상이 들어간 역사적인 화폐입니다.당시 우리나라는 전쟁 상황 속에서 화폐가 급하게 필요한경우 일본에서 인쇄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고, 세종대왕 초상화를 외국인이 그린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알고있는 세종대왕 초상화와는 많이 다른 모습으로 남아 있습니다. 세종천환의 발행 연도 세종천환은 총 3개 년도로 발행되었습니다.4293년 (1960년)4294년 (1961년)196.. 2025. 3. 19.
1962년 발행된 화폐중 1800만원이 넘는 화폐가 있다? 소개안녕하세요! 오늘 소개해 드릴 화폐는 상당히 고가에 속하는 '모자상' 백환권 화폐 입니다.최근 이 모자상 백환권 화폐는 경매에서 1,810만 원에 낙찰된 이력이 있습니다.모자상 백환권 화폐의 앞면은 여인과 남자아이가 저금통장을 보는 그림으로 이루어져있고,뒷면은 독립문 도안이 담겨있습니다.그럼 도대체 이 화폐가 왜 이렇게 비싼 건지! 차근차근 알아보시죠 😀모자상 백환권 화폐의 특징우리나라는 주로 역사적인 위인을 화폐에 담았고, 한명의 위인으로 도안을 제작했지만 우리나라 최초 두 명으로 구성된 도안을 가진 화폐였습니다. (생각해 보니 그렇지 않나요?)옛날 화폐는 대부분 한자로 표기했으며, 모자상 백환권 화폐는 순수한 한글이 담겨있습니다.모자상 백환권 화폐가 비싸고 비싼 이유는 이것 때문인데요!발행 시기.. 2025. 3. 6.
1973년 1차 만원권 가만원권 이 주제를 보시고 나면 집안 어딘가에 있을지도 모르는 보물을 찾아보세요 🤩우리 집에 보물이 잠들어있을 수도 있어요!설명이 1차 만 원권은 우리나라 최초의 고액권으로 산전수전을 겪고 1973년 발행되었습니다.1970년대 박정희 정부 시절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고 이로 인해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고액 화폐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이 지폐는 1차 만 원이라 불리며 또는 만 원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171x81 mm의 크기로 앞면은 세종대왕 초상의 그림과 무궁과 그림이 있으며뒷면은 경복궁 근정전의 모습이 담겨있습니다.원래 이 1차 만 원권은 석굴암 불국사 그림을 담아 1972년 발행하려 하였으나, 불교 문화재인 석굴암과 불국사를 담는 것은 특정 종교를 두둔하는 것이라며 반발이 거세지자 한국은행은 발행을 .. 2025. 3. 5.